Posts

디지털마케팅 트렌드

  최근 2 개년 국내외 디지털마케팅 트렌드 - 마케팅 5.0  데이터 , AI, VR, IoT 인간을 위한 연결 차세대 기술 활용해  인간을 위한 방식 으로 활용해 고객 경험 (CX)  가치를 높임   (AI,  로봇공학 ,  메타버스 등 ) 기술적 한계로 불가능하던 영역의 마케팅적 접근이 실현가능한 세대로 접어들고 있음   ‘- MKT 5.0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고객 경험 확산 방법 5 가지 ①      Data Driven ( 데이터 중심 ) 디지털화의 가장 큰 부산물인 빅데이터 , 모든 고객과 만난 접점드리 기록되며 이 흔적으로 소비자 , 행동패턴에 분석적 접근 가능 ②      Predictive (AI 기반 데이터 분석 ) ‘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 ’ 을 통해 MKT 결과 예측의 정확도 높아짐 . 이를 통해 실패 요인을 줄이고 중간 이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음 ③      Contextual ( 고객 관심사기반 개인화 ) 사용자 추적 기술을 통해 이용자의 관심사를 파악 후 고도화된 분석 기술로 개인화 접근 필요 , MKT 효율 증대 가능 ④      Augmented (AI 활용한  마케터 역량 강화 ) AI 와 같은 최신 기술에 가치가 낮은 작업을 이관함으로써 마케터의 능률 향상과 역량을 강화 가능 ⑤      Agile ( 빠른 실행 ) 시장과 고객 니즈의 빠른 변화는 기업에게 위기 , 하지만 성공 스타트업과 같이 적극적 신기술도입을 통해 준비된 기업에게 기회가 될 수 있음 ‘- 라이브 스트리밍 매년 소비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양이 증가.  다양한 플랫폼에서 라이브 스트리밍 기능을 추가하기 시작함 .  브랜드는 소비자와 실시...

트렌드-캠페인 트렌드

  새로운 기술 , 서비스 , 광고상품 등 디지털 미디어 트랜드 ' 상세한 부분보다는 전반적으로 새로운 디지털 마케팅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를 갖고있는지 확인 신규 플래폼 , 최근 주목받는 것들 1) 메타버스 가공 , 추상 (meta), 현실 세계 (universe) 의 합성어로 3 차원 가상세계를 의미 - 기업이 메타버스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1 년에는 메타버스의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발전과 함께 팬데믹 상황을 배경으로 온라인 - 오프라인 융합이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예상됨   - 메타버스와 가상 현실 세계가 지닌 마케팅적 가능성 Microsoft, Facebook 을 비롯한 테크 자이언트 사업자 Teams 와 같은 가상 협업 기술이나 이미 구축되어 있는 게임 세계관 속에서 메타버스 영향력 확보 움직임을 보임   수많은 가상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다각화 , 이들의 인기가 메타버스로 이전 되었을 때의 부가 활용도와 가치는 실존 인물에 비해 훨씬 높을 것으로 예상됨   - 마케팅 사례 ①      패션 업계 구찌 , 발렌티노 등의 명품 브랜드는 동물의 숲과 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해 아바타에게 적용할 수 있는 자사 로고 그려진 패션 아이템 제작 è  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플랫폼을 통해 자신들의 브랜드 각인 효과 , 메타버스 플랫폼은 이미 유명한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업으로 플랫폼으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음 ②      전자제품 LG 전자는 OLED TV 홍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 동물의 숲에 올레드 섬 공간을 만듦 . 게임 유저들이 올레드섬에서 보물찾기를 하며 자연스럽게 상품을 접할 수 있게 함 è   게임 스토리에 상품을 반복적으로 노출함으로써 TV, 매장이 아닌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제품 홍보 효과 기대 ③   ...

Lumascape-Display

Image
 

Lumascape-Video

Image
 

[운영] 미디어 운영 & 최적화 - 최적화 기본 사항

매체 최적화 플랫폼의 종류 및 특징에 대해 설명 가능한가 여부 (자동, 수동 모두 포함) 매체 별 운영 제약사항(유사 매체대비)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는가 여부 [최적화 기본 사항] 1) 최적화 목표 확인 - 노출 확대? 유입 확대? 전환 확대? 2) 예산 최적화 - 미디어믹스 조정 - 고효율 캠페인에 예산 강화 3) 타기팅 최적화 - 캠페인 목적 변경 (CPC --> CPA, Goal conversion) - 고효율 타기팅 확대 (예, LAL 확장) - 비효율 타깃 OFF 또는 예산 축소 - 비효율 지면 OFF (네트워크 상품. - GDN, DV360 등) 4) 소재 최적화 - 비효율 소재 OFF - (반응율 떨어진다면) 새로운 소재로 교체 - 반응율 높일 수 있는 Extension 활용 (예, 검색광고 extension) 관련 플랫폼 : DCO 3) 랜딩 페이지 최적화 - CTA 요소 추가 - Anchoring으로 핵심 컨텐츠 노출 - 효율 높은 랜딩페이지로 변경 관련 플랫폼 : Optimize360 [매체 최적화 플랫폼] 1. 각 매체 2. 소재 최적화 (DCO) 3. 랜딩 페이지 최적화 (Optimize360) 4. 외부 솔루션

[운영] 소재 관리 - DCO

Image
 Ad Copy 및 영상, 이미지 콘텐츠의관리 플랫폼 솔루션을 알고 있는 지 소재에 대한 자동 variation 플랫폼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지 1. DCO 정의 Dynamic Creative Optimization. 데이터 기반으로 타깃에 적합한 광고 소재 구성요소 ( 이미지 , 동영상 및 텍스트 등 ) 를 자동 조합 . 개인화된 Creative 를 노출키는 광고 기술 (ML 통해 효율이 높은 타깃 - 소재를 조합해 노출시킴 ) [ 장점 ] 타깃에게 맞춤형 광고 메시지 노출 가능 타깃 별 가장 효율 높은 소재를 자동 만들어 노출시킴 ->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음   2. 관련 광고 상품   검색 배너 동영상 Google Ads RSA (Responsive Search Ads) Responsive Display Ads Smart Display Campaign Director Mix GMP   Data Driven Creative   Facebook/Instagram   Dynamic Creative Ads     RDA vs. SDC vs. DDC 비교   RDA (Responsive Display Ads) SDC (Smart Display Campaign) DDC (Data Driven Creative) 조합 항목 이미지 , 로고 , 텍스트 이미지 , 로고 , 텍스트 CTA 이미지 , 로고 , 텍스트 CTA Rich M...

개인정보보호법 - 마케팅 대응안

Image
대응안 A 타입 쿠키 기반 타기팅 대안으로, 사용자 행동 대신에 사용자 환경이나 관심사를 타기팅함 1.1. 타기팅 방식 변화 - Contextual targeting 확대 쿠키 기반으로 방문자의 행동을 추적하는 게 아니라, 유저가 탐색하고 있는 환경을 타기팅하는 방식. 쿠키 정보 없이도 사용자가 탐색하고 있는 환경과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음. 방문자의 과거 행동보다 현재 행동에 집중할 수 있음. 행동기반 타기팅의 대안이 될 수 있음.  Contextual advertising scans keywords in the text of the page and renders related ads to that content based on what consumers are searching or viewing.  [ 참고 ] Contextual vs. Behavioral Ad -        Contextual : 유저가 탐색하고 있는 환경 을 타기팅 ( 예 , 유저가 보고 있는 웹사이트에 노출 ) -        Behavioral : 방문자 행동을 추적 . ( 예 , 유저가 예전에 신발 본적 있음 . 지금은 공구 사이트 탐색중인데도 신발 광고 노출됨 ) à contextual 이 더 업그레이드 버전임 . 1.2. 타기팅 방식 변화 - Google의 새로운 타기팅.  FLoC (FloC – Federated Learning of Cohorts)   개인 정보를 보관하는 게 아니라, 공통된 Interest 기반으로 audience를 그룹화함 (코호트 방식) 개인을 분간하지 않고도 마케팅 활용에 유의미한 비식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음 FLoC 알고리즘에 따라 구글 사용자의 행동 분석 > Interest에 따라 Audience 그룹화 (Cohort ID로 구분)...